본문 제목

구글 검색 최적화 지역 타겟팅

디지털 마케팅/검색엔진최적화

by 노엘(Noelle) 2022. 1. 20. 10:25

본문

 

지역 기반의 비즈니스 또는 지역별로 별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의 경우 접속 지역 환경에 따라 적절한 페이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장 적절한 전환 전략이며 이를 지역 타겟팅 SEO (GEO targeting SEO)라고 합니다.
이러한 과제에 직면한 마케터의 경우 검색 엔진 최적화 설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텐데요.





미국 서부 시각으로 지난 1월 14일 구글서치센트럴 행아웃을 통해 구글 검색 대변인인 존뮬러(John Mueller)는 관련 질문에 대하여 구글 지역 타겟팅 최적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습니다.

 





질문자는 지역별 별개의 서비스 웹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었고, 접속자가 적합한 지역 서비스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지역 기반 IP 리다이렉팅(redirecting)하고 중복 컨텐츠 색인 문제를 피하기 위해 지역 서비스 페이지들의 비색인(no-index)처리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인지에 대하여 질문하였습니다. 



존뮬러의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당 방법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해당 답변에 대한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로 구글 검색 엔진은 특정 지역 베이스로 크롤링이 진행됩니다. 동적 IP 리다이렉션으로 진행될 경우 대부분의 경우 미국 캘리포니아를 기준으로 크롤링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 크롤러는 캘리포니아 지역 랜딩페이지만 크롤링하게 됩니다.지역별로 컨텐츠가 분리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하게 다양한 컨텐츠로 구성된 것은 전체 웹사이트의 품질 차원에서는 좋은 신호가 될 수 있으나, 동적 리다이렉션으로 인해 구글 검색 엔진은 해당 컨텐츠들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두번째로 비색인처리된 페이지로 리다이렉션하는 것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개별 페이지가 색인되지 않으면 캘리포니아 타겟 페이지조차 색인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는 질문자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떻게 조치해야 할까요?
존뮬러는 모든 지역을 포괄하는 정적 컨텐츠 페이지에 지역 타겟팅 되는 동적 배너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해당 지역 관련한 특정 페이지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유입시키는 것입니다.
“OO지역 관련한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정적 컨텐츠와 지역 세부 타겟팅 컨텐츠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드는 것이 권장됩니다. 




존뮬러가 언급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지역 타겟팅 전략은 HTML 태그를 통해 지역 설정을 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 지역 타겟팅을 하는 서비스의 경우 질문자와 같이 주 단위 구별이 아닌 국가단위로 구별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요. 이경우 <hreflang=”OO”> 태그를 통해 사용언어페이지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더불어 <rel=”canonical”> 태그와 속성을 사용해 선호 url을 설정하면 같은 컨텐츠의 다국어 페이지가 있을 경우 중복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